5월이 되면서 제 주변에도 결혼하는 분들이 늘어나고 있는데요. 이렇게 행복한 결혼식에 참석할 때 고민되는 것이 하나 있습니다. 바로 축의금인데요.
결혼식에 많이 참석해보신 분들은 축의금으로 얼마를 내면 좋은지 대충 감이 오시겠지만, 처음 가시는 분이라면 상당히 고민이 되실 겁니다.
3만원을 내자니 너무 적은 듯하고, 5만원이상을 내자니 지갑이 부담스럽고...그래서 오늘은 적당한 결혼식 축의금은 얼마인지 간략하게 알아보려고 합니다.
일반적으로 결혼식 축의금은 홀수로 내는 것이 맞습니다.
최소 적게는 3만원부터 5만원, 7만원, 10만원 등으로 내게 되죠.
이렇게 홀수 금액으로 축의금을 내는 이유는 옛부터 조상들이 홀수가 길한 숫자라고 여겨져 왔기때문이라고 합니다.
그런데 위의 금액에서 이상한 점을 발견 못 하셨나요?
그렇습니다. 바로 짝수인 10만원이 들어가있죠?
10만원의 경우는 홀수인 3만원과 7만원이 합처져서 더욱 더 길한 의미를 가진다는 설때문인지 좋은 의미에서 축의금으로 쓰인다고 하네요.
그렇다면 결혼식에 얼마를 내야 적당할까요?
위에 나와있는 표를 보시면 아시겠지만, 예전에는 기본이 3만원이었습니다.
하지만 요즘은 물가도 오르고, 5만원짜리 지폐도 새로 생기면서 3만원보다는 5만원을 내는 것이 일반적인 것으로 되어버렸지요.
저같은 경우에도 보통 5만원을 내고, 정말 친하고 가까운 사람의 결혼식에는 그 이상도 내고 있습니다.
만약 친분이 있다고 하기 애매한 사이라면 3만원을 내도 상관없으나, 그렇게 해서 자신의 마음이 불편하다고 느껴진다면 그냥 편하게 5만원을 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돈보다 중요한 것은 신랑, 신부의 결혼을 축하해주는 마음이겠죠.
기분 좋아하할 날에 1~2만원때문에 불편한 자리가 되버리면 안 되잖아요?
따라서 결혼식 축의금은 자신의 마음이 편해지는 금액을 내는 것이 가장 적당한 금액이 아닐까 생각이 듭니다^^